6-1

안녕하세요. 두번째 시간으로 티스토리 스킨 및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
1. 티스토리 스킨 정하기

처음에 스킨을 아무거나 고르고 시작하시게 되면 나중에 사용하다가 불편함을 느끼거나 다른 더 좋은 스킨을 찾았을 때 웹마스터도구 메타 태그와 구글 애드센스 태그 등을 다시 넣어야 하는 귀찮음이 있기 때문에 처음에 스킨을 고르실 때 너무 급하게 선택하지 마시고 조금 천천히 구경을 충분히 한 뒤 고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.


6-2


블로그를 만든 뒤 스킨 변경에 들어가시면 현재 사용 중인 스킨과 티스토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스킨들을 보실 수 있는데요. 여기서 마음에 드는 스킨들을 선택하셔도 좋고


6-3


티스토리 홈페이지 좌측 카테고리에 스킨을 누르셔서 여러가지를 구경해 보시고 마음에 드시는 것들이 있으면 블로거 분들에게 따로 구매를 하시거나 무료로 나눔을 해주시는 분들이 계시면 다운로드를 받아서 사용하실 수 있는데요.


6-4


만약 스킨을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하신다면 스킨을 등록하셔야 합니다.

스킨 등록은 스킨 변경 탭에서 스킨 목록이라는 굵은 글씨에서 오른쪽으로 보시면 스킨 등록이 보이시는데요.


6-5


스킨 등록을 누르셔서 모든 파일을 업로드 하시면 되는데 이미지 파일의 경우 안으로 들어가셔서 전부 업로드 하셔야 합니다.


6-6


업로드 하신 뒤 스킨 보관함에서 다운로드 받은 스킨을 적용 시킬 수 있습니다.

저는 개인적으로 티스토리에서 제공하는 반응형 스킨을 사용하다가 최근 무료로 배포하는 simple line이라는 스킨을 사용 중입니다.


2. 콘텐츠 설정

6-7


저 같은 경우 기본으로 공개 설정을 하고 글꼴은 돋움 크기는 11 포인트로 지정해 놓고 사용합니다.

이게 별로 쓸데없는 설정 같지만 한번 설정해 놓으면 은근히 편리하더라고요.


3. 모바일 꾸미기 설정

6-8


반응형 스킨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자동으로 모바일에 맞춰 변경이 되기 때문에 자동 연결을 사용하지 않습니다로 설정하시면 됩니다.

반대로 일반 스킨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자동 연결을 사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


4. 관리 - 블로그

6-9


https 보안 접속의 경우 다양한 의견이 많은데 티스토리와 네이버 측에서 결과적으로는 업데이트를 통하여 해결을 해줄 수 있다고 믿기 때문에 어짜피 나중에 강제로 보안 접속 사용하시게 되면 다시 웹마스터도구 설정하시고, 사이트맵 다시 받으시고 여간 귀찮은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저는 처음부터 보안 접속을 사용하였습니다.


5. 관리 - 기타설정

6-10

가장 아래 기타설정에서는 RSS는 전체 공개 그리고 공개될 RSS은 최대 50개로 설정해 줍니다.


여기까지 해주면 어느 정도 블로그 설정이 완료되었는데요. 

처음에 다짜고짜 글을 쓰시는 것 보다 블로그 설정 메뉴들을 하나하나 눌러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

다음 시간에는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BELATED ARTICLES

more